의료법인 케이씨엘의료재단

검사코드 6231 검체용기
검사분류 기타
검사명(한글) Specific IgE M227:Malassezia spp.
검사명(영문) M227: Malassezia spp.
검사명(약어) M227:Malassezia spp. 검체용기명 SST (혈액5.0mL)
단위 KU/L 참고치 Class 0: < 0.35 KU/L Class 1: 0.35~0.69 Class 2: 0.70~3.49 Class 3: 3.50~17.49 Class 4: 17.50~49.99 Class 5: 50.00~99.99 Class 6: ≥ 100.00
보존방법 채취 전 : 실온 보험코드 D7440010Z
검사수가 16,890 관련질환 알레르기
검사정보 * 임상적 의의 Malassezia spp.항원에 의한 알레르기의 위험도를 예측한다. 혈청 특이 IgE 항체검사는 피부시험에 비해 환자에게 위험이 적으면서 검사결과의 특이성이 높고 정량적이며 투여 약물(항히스타민제 등)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항원의 안정성이 높고 영유아나 심한 피부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으므로 최근 알레르기질환의 1차적 선별검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알레르기질환은 객관적인 진단기준(진단 criteria) 또는 reference method가 없으므로 대부분의 연구에서 특이 IgE 항체검사법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피부검사나 유발시험 또는 병력과 비교해서 구하게 되는데, 이는 절대적인 민감도와 특이도가 될 수 없으며 알레르기 항원 노출 후 검사까지의 시간, 알레르기 항원의 종류, 환자의 연령, 대상 장기에 따라 시약의 민감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특이 IgE 항체검사 결과는 환자의 병력, 증상, 연령, 다른 검사 소견등과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는데, 검사 양성이면서 병력과 이학적 소견이 알레르기질환에 타당하고 증상을 동반하면 알레르기의 원인항원으로 진단이 가능하고, 무증상인 경우 무증상 감작 상태로 향후 알레르기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이 IgE 항체 수치가 높을수록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감작이거나 알레르기질환일 가능성이 높아지나 이는 알레르기 항원마다, 개인마다 차이를 보인다. 호흡기 알레르기 항원의 경우 특이 IgE 항체 결과가 환자의 병력, 증상과 잘 일치하지만 음식물 알레르기 항원의 경우 환자의 증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흔하며, 음식물에 대한 낮은 농도의 IgE는 임상적으로 의미없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모든 항원에서 임상적 연관관계가 잘 증명되지는 않았으므로 해석 시 주의를 요한다. 알레르기 환자에서 특이 IgE의 감소는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노출감소 또는 관용(tolerance)으로 해석될 수 있다. 3세 미만의 소아는 우유, 달걀흰자, 밀, 콩 등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가 흔하며, 드물게 집먼지진드기 항원에 대한 항체가 발견되기도 한다. 흔한 음식 알레르기 항원에서 음성인 환아는 땅콩 등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보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추가적인 음식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지 않으며 꽃가루나 곰팡이에 대한 알레르기도 드물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사가 필요한 경우는 드물다. 3세 이상의 소아 및 성인은 호흡기 증상을 주로 보이는데, 흔한 호흡기 알레르기 항원은 집먼지진드기, 개, 고양이, 바퀴벌레, 곰팡이, 꽃가루 등이다. Specific IgG4 항체검사는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특이 IgG4를 정량측정하여 알레르기 면역치료에 대한 반응 또는 해당 항원에 대한 관용(tolerance)을 확인하는데 쓰여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준다. · Allergen명: Malassezia spp. *주의사항 소아, 약물 또는 벌독 알레르기의 경우 0 class에 속하는 0.10~0.35 KU/L의 수치에서도 증상을 보이는 경우 많음(UniCAP 검사만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