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코드 | 5906 | 검체용기 |
|
---|---|---|---|
검사분류 | 기타-GFR | ||
검사명(한글) | 인슐린양 성장인자결합단백질 3 | ||
검사명(영문) | IGF-BP3 | ||
검사명(약어) | IGF-BP3 | 검체용기명 | SST (혈액5.0mL) |
단위 | ng/mL | 참고치 | Age Range 0-<2Y: 919-3352 ng/mL 2-<3Y: 1183-3752 3-<4Y: 1343-4136 4-<5Y: 1511-4505 5-<6Y: 1687-4860 6-<7Y: 1868-5202 7-<8Y: 2053-5535 8-<9Y: 2239-5858 9-<10Y: 2423-6172 10-<11Y: 2603-6474 11-<12Y: 2775-6761 12-<13Y: 2935-7031 13-<14Y: 3080-7282 14-<15Y: 3205-7512 15-<16Y: 3306-7720 16-<17Y: 3379-7905 17-<18Y: 3423-8065 18-<19Y: 3441-8198 19-<20Y: 3439-8302 20-<21Y: 3420-8374 21-25Y: 3225-8418 26-30Y: 3082-8167 31-35Y: 2960-7552 36-40Y: 2825-6929 41-45Y: 2696-6517 46-50Y: 2560-6252 51-55Y: 2382-6021 56-60Y: 2172-6061 61-65Y: 2044-5997 66-70Y: 1879-5822 71-75Y: 1649-5652 76-80Y: 1436-5412 |
보존방법 | 채취 전 : 실온 | 보험코드 | D3440020Z |
검사수가 | 20,060 | 관련질환 | 성장호르몬결핍증, 거인증 |
검사정보 | IGFBPs 중 가장 다량으로 존재하는 IGFBP-3은 간에서 생성되어 혈중 내 IGF-I과 결합하여 존재하며 growth hormone (GH) 분비 이상 진단 시 유용 단비대증처럼 GH와 IGF-1생성이 증가할 때, IGFBP-3와 a-subunit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GF-2농도가 증가되지 않으면, GF-binding site는 IGF-1에 의해 채워진다. 반대로 GH 결핍증과 같이 GH와 IGF-1 생산량이 감소하면 IGFBP-3와 a-subunit의 농도가 떨어 진다. IGFBP-3는 일간변화치가 안정적이므로 1회 측정으로 충분하다. IGFBP-3의 혈중 농도는 출생시에 낮고, 생후 1주일부터 급속히 증가하여 성숙기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가 성인이 되면 점차 감소한다. 원발성 담경색증과 만성간염환자에서 기존 간기능 검사와 IGFBP-3와의 높은 상관관계를 발견할수 있는데, 그것은 아마도 IGFBP-3의 생성이 주로 간에서 기인함을 시사한다. 만성신부전증에 서는 작은 분자량 성분들이 축적되어 IGFBP-3가 많이 증가되는데, 이는 신장이 IGFBP-3의 제거에 주로 관여함을 시사한다. <증가> 말단비대증, 거인증 <감소> GH 결손증, 뇌하수체성 소인증, 간경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