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법인 케이씨엘의료재단

검사코드 5905 검체용기
검사분류 기타
검사명(한글) Free Testosterone
검사명(영문) Free Testosterone
검사명(약어) Free Testosterone 검체용기명 SST (혈액5.0mL)
단위 pg/mL 참고치 M: < 15Y: ≤ 1.80 pg/mL 15-39Y: 5.40~40.00 40-59Y: 3.60~25.70 ≥ 60Y: 1.50~28.80 F: < 15Y: ≤ 2.70 15-39Y: ≤ 4.60 40-59Y: ≤ 4.00 ≥ 60Y: ≤ 5.00
보존방법 채취 전 : 실온 보험코드 D3710050Z
검사수가 13,080 관련질환 성호르몬
검사정보 *임상적의의 남자에서 LH는 고환의 Leydig 세포 수용체와 결합하여 콜레스테롤이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으로 바뀌는 것을 촉진하며, 여성에서 대부분의 테스토스테론은 부신 유래의 androstenedione의 대사로 생긴 것이다. 순환하는 테스토스테론의 60% 정도는 SHBG (steroid hormone binding globulin)와 단단히 붙어 있고 40% 정도는 알부민과 결합되어 있다. 2% 정도인 free testosterone은 시상하부나 뇌하수체의 LH 분비에 의해 억제된다. 테스토스테론은 대사되어 androsterone, tiocholanolone, estradiol이 된다. 테스토스테론 증가질환은 쿠싱증후군(Cushing's syndrome), 부신암종, adrenogenital증후군, 다모증, 고환종양, 난소종양, 다낭성 난소질환 등이 있고, 감소질환에는 클라인펠터증후군(Klinefelter syndrome), 뇌하수체기능저하증, 생식선부전증 등이 있다. 남자의 혈중 테스토스테론은 10세부터 점차 증가하고 20~50세에서 거의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다가 이후 점차 감소를 보인다. Free testosterone이 총 테스토스테론보다 생물학적 활성과의 상관관계가 좋다. Free testosterone의 표준검사법은 equilibrium dialysis나 ultrafiltration이며 RIA법은 표준검사법에 비해 민감도가 훨씬 낮아 실제 체내 free testosterone 농도보다 훨씬 낮게 측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