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정보 |
* 임상적 의의
소변 내의 단백질에 대한 전기영동 검사를 실시하게 되면 상당히 많은 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 결과의 판독에는 각 분획의 변동을 %로 평가하는 상대적 평가를 많이 이용하나 다른 분획의 변동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total protein에 대한 각 분획비를 곱한 값을 분석에 반영하게 되면 단순히 분획비만 이용하는 것보다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Protein의 변동이 예상되는 질환에서 성분의 변화 특히 albumin 저하 혹은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의 변동을 알기 위하여 검사되며 일반적인 병태의 선별적 의의가 있다.
· 급성염증형: albumin↓, α1↑, α2↑
· 만성염증형: albumin↓, α1↑, α2↑, β↓, γ↑
· 급성간장해형: albumin↓, α2↓, 경과와 함께 γ↑ (혈청 총 단백량 저하)
· 만성간장해형: albumin↓, α2↑, γ↑(β-γbridging)
· 단백부족형: albumin↓, α2↓, β↓, γ↓ (혈청 총 단백량 저하)
· 신증후군형: albumin↓, α2↑, β↑, γ↓ (혈청 총 단백의 분명한 저하)
· M단백혈증형: 가늘고 좁은 단백대(M peak)가 주로 γ글로블린 영역에 출현
· 임신형: albumin↓, β↑ (혈청 총 단백량 저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