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정보 |
뇌하수체 전엽에서 방출되는 펩티드 호르몬으로 말초조직에 직접
혹은 소마토메딘을 이용하여 성장 촉진, 단백동화, 지방분해 등의
생리작용을 일으킨다. GH의 분비는 일내 변동 외 섭식, 수면,
스트레스 등에 의해 크게 변화를 반복하고 있다. 대부분의 GH는
수면 중에 분비되지만 1일 10회 정도의 맥동적 분비도 존재한다.
이 때문에 1회의 채혈에 의해 GH를 측정하는 것보다도 collected
urine에서의 측정이나 부하시험에서의 값이 병의 상태 진단에는
유용하다고 한다. GH의 측정은 뇌하수체 전엽 기능의 진단에
유용하고 말단 비대증, 뇌하수체성 거인증 등 혈중 GH농도가
높은 수치의 경우, 그 진단 및 경과 관찰에 이용된다. 채혈에
있어서는 GH분비가 운동, 스트레스, 식사(아미노산 섭취),
에스트로젠 투약 등에 의해 촉진되고 포도당 부하, 소마토스타틴
등에 의해 억제된다. GH이 낮은 수치의 경우는 인슐린 부하,
아르기닌 부하, L-도파 부하, GRF부하 등의 분비 자극 시험이
실시된다.
<증가>
말단 비대증, 뇌하수체성 거인증, GH-RH을 생합성하는 종양,
요독증, 신경성 식사부진증GH투여시의 일부(맥동적 분비에 의해서
증가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차례 측정하고 뇨 중 GH을 병용)
<감소>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GH분비 부전성 저신장증, 비만, 갑상선 기능
저하증, GH단독 결손증뇌하수체성 소인증(통상은 분비 자극 시험을
추가해 진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