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코드 | 5020 | 검체용기 |
|
---|---|---|---|
검사분류 | 진단면역 | ||
검사명(한글) | LH | ||
검사명(영문) | LH | ||
검사명(약어) | LH | 검체용기명 | SST (혈액5.0mL) |
단위 | mIU/mL | 참고치 | M: 20-70세: 1.5-9.3 mIU/mL >70세: 3.1-34.6 F: Follicular: 1.9-12.5 mIU/mL Mid Cycle Peak: 8.7-76.3 Luteal: 0.5-16.9 Pregnant: <0.1-1.5 Post menopausal: 7.9-53.8 |
보존방법 | 채취 전 : 실온 | 보험코드 | D3702030Z |
검사수가 | 11,140 | 관련질환 | 성선자극호르몬 |
검사정보 | * 임상적 의의 LH는 뇌하수체전엽에서 생성 및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이며 사상하부의 Gn-RHdp 의해 조절된다. 여성에서는 FSH에 의해 형성된 난포를 성숙시켜 배란을 유발하고, 그 후에 황체화를 촉진시켜 estrogen과 Progesterone을 분비하게 한다. 남성에서는 고환의 Leydig 세포를 성숙시켜 Testosterone의 생산 및 분비를 촉진한다. 증가: 성선기능저하. 부전증, 다낭포성나소증후군, 양측난소척출, 거세 후 또는 LH 생산종양, 폐경기 감소: 뇌하수체기능저하증, HCG 생산종양, 난소의 파손, 말단비대 초기, 고환 파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