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정보 |
*임상적의의
국내 미치료 감염인에서의 내성률은 선진국에 비해서는 아직은 낮은 수준이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특히 치료경험 환자들에서의 내성도 추이는 다양한 항레트로바이러스
제들에 대한 유전형약제내성도 및 표현형 약제감수성 평가를 통한 실험실 내 데이터 축적도 필요하지만, 향후 보다 유익한 국가자료 산출을 위해서는 정확한 치료력 자료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내성주 모니터링 시스템 확립이 요구된다. 또한, 지속적인 국내 HIV/AIDS 감염인에서의 내성도 모니터링 및 새로운 항레트로바이러스제 사용에 대비한 검사법 확립 등은 국내 새로운 약제 도입의 근거를 마련하고, 감염인 치료의 최적화에 기반이 될 뿐 아니라 내성검사의 표준화와 새로운 도입 약제 또는 약제후보물질에 대한 평가체계를 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1) 4가지 계열 :
핵산계열 역전사효소억제제(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NRTI),
비핵산계열의 역전사효소억제제(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NNRTI),
단백질분해효소억제제(protease inhibitor; PI),
통합효소 억제제(integrase inhibitor; INI)
2) 유전형약제내성검사법 (genotypic drug resistance assay): HIV/AIDS 감염인의 혈장으로부터 핵산 (HIV RNA)을 추출, 약제의 표적이 되는 유전자를 증폭, 변이를 염기서열분석에 의해 조사하는 방법. 항레트로바이러스제를 복용하는 감염인에 대한 약제내성 정도를 예측,
치료제 변경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가능한 검사법
*주의사항
1 Plasma 반드시 동결
2 EDTA 냉장
3 전용의뢰서 작성시 HIV 정량 수치 기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