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법인 케이씨엘의료재단

검사코드 1998 검체용기
검사분류 기타
검사명(한글) 25-OH vitamin D2 & D3 [LC/MS-MS]
검사명(영문) 25-OH vitamin D2 & D3 [LC/MS-MS]
검사명(약어) 25-OH vitamin D [LC/MS-MS] 검체용기명 SST (혈액5.0mL)
단위 ng/mL 참고치 25-OH Vitamin D2: 참고치 미설정 25-OH Vitamin D3: 참고치 미설정 25-OH Vitamin D Total : 10.00~100.00 ng/mL Vit.D deficiency: < 10.00 Vit.D insufficiency: 10.00~30.00 Vit.D sufficiency: 30.10~100.00 Vit.D toxicity: ≥ 100.10
보존방법 채취 전 : 실온 보험코드 D4904086Z
검사수가 50,330 관련질환 비타민D결핍
검사정보 *임상적의의 Vitamin D3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에서 전구물질인 7-dehydrocholesterol로부터 생성되어 간에서 25-OH vitamin D3로 전환되고 다시 신장에서 1,25-(OH)2 vitamin D3로 대사된다. 또한 식이에 의해 25-OH D2(ergocalciferol 또는 calciferol): 식물성 또는 25-OH Vitamin D3 (cholecalciferol 또는 calcidiol): 동물성 형태로 흡수될 수 있다. 대사산물 중 혈중 농도가 가장 큰 것은 25-OH Vitamin D로 그 농도는 생체 내 vitamin D 보유상태를 잘 반영하며, 일광 조사로 피부에서 합성되는 vitamin D3의 혈중 농도는 계절에 따라 현저한 변동을 보인다. 상기 검사는 Vitamin D의 결손증을 진단하기 위한 것으로 25-OH Vitamin D2와 D3를 구분하여 정량이 가능하며, 이 두 값을 합하여 total 25-OH Vitamin D로 보고한다. Vitamin D의 결핍은 골다공증을 초래하며, 뼈에대한 작용 이외에도 감염에 대한 감수성 증가, 근육 불쾌감, 대장, 유방 및 전립선암 위험 증가, 불임, 심혈관질환, 알레르기 등 다양한 질환과의 관련성이 밝혀지고 있다. ↑: Vitamin D 과잉 섭취, 투여, 부갑상선기능항진증 ↓: Vitamin D 결핍성구루병, 흡수부전, 단장증후군, 항경련제 치료, 담즙성 간경변증, 신증후군, 간질환, 햇빛노출 부족(동계출생아, 일광조사 부족의 고령자),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소